[사설] ‘표 냄’ 없는 우리들의 사랑 필요 한 때

한 해가 뉘엿뉘엿 저물어가는 12월, 갑작스러운 추위는 어려운 사람들에게 더 춥다. 경제 규모 세계 10위권을 자랑하는 선진국이라지만 여전히 추위와 배고픔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많다. 급속한 고령화와 1인가구의 증가는 고령층 빈곤가구를 양산하고 있다. 난방도 되지 않는 좁은 방에 목숨을 유지하고 사는 건강하지 못한 노인들이 우리 곁에 있다. 단란한 가정도 한 순간 빈곤층으로 전락할 수 있는 낭떠러지에 서있는 것이 대한민국 중산층 이하 가정이 처한 현실이다. 아직도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아이들이 적지 않다.
빈곤층의 의식주 의료를 해결하는 주체는 물론 정부다. 하지만 정부 정책이 미치지 못하거나 부족한 부분이 있다. 또 공공영역을 기다리기에 시간이 급박한 상황도 적지 않다. 그 빈틈을 민간 분야나 개인이 대신한다. 그 중에서도 사회적 이웃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 연말 자비행렬이 필요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다행히 우리 강원도민들은 연말 불우이웃 돕기 동참을 주저하지 않는다. 그 대상과 범위도 넓고 다양하다. 김장을 제공하는 단체가 있는가 하면, 독거 장애인이나 노인 등을 찾아 연탄 기부를 하는 단체도 있다. 연말이 아니어도 평상시 복지관을 찾거나 정기적으로 후원금을 내는 방법으로 돕는 도민들도 많다. 동지에는 팥죽을 끓여 이웃과 나누기도 한다. 모두 어려운 이웃을 돕고 함께 살아가려는 도민들의 더불어 사는 나눔이다. 연말에는 도민들의 사랑의 손길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더 많다. 그리고 그들의 처지는 더 절실하다. 지금까지 그래왔듯 우리 도민들은 추운 겨울에는 이웃을 더 살피는 따뜻한 마음을 보내길 당부한다. 어려운 사람들이 갈수록 많아지다 보니 해마다 온정의 손길도 줄어든다고 걱정이다. 사회 안전망이 붕괴되고 경제도 침체돼 중산층마저 안심하지 못할 정도로 현실이 각박하다. 이럴 때 일수록 이웃들의 사랑이 멈추지 않기를 바란다.
연말 불우이웃을 돕는 사랑과 더불어 중요한 것은 우리 선조들의 품앗이라는 가르침을 생각하고 실천하려는 자세다. 가장 이상적인 사회는 돌봄을 기다리는 불우한 이웃이 없는 사회다. 그러나 이는 인간이 그리는 이상적 모습일 뿐 아직 현실 사회에서 구현하지 못했다. 물질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함께 나누고 더불어 살려는 개인들의 각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 사회는 끊임없이 진정한 나눔을 강조하고 개인의 각성을 촉구해야 한다. 개인들도 우리 선조들의 가르침에 합당한 이웃에 대한 관심을 실천하는지 끊임없이 성찰해야 한다.
우리 선조들이 내세우는 이웃에 대한 관심은 표 냄이 없었다. 물질이 남아서, 시간이 남아서 베푸는 시혜가 아니라 본래 내 것이 아니므로 주는 행위도, 베풀었다는 흔적도 없는 우리 민족의 미덕이다. 이러한 선조들의 가르침을 깊이 새겨서 우리 이웃을 대하고 사회의 아픔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아질 때 남의 손길을 받아야 하는 사람도 우리 사회에서 사라질 것이다.

동해 특수학교 설립은 주민 설득이 최우선이다

강원도교육청은 최근 일부 주민의 반대로 난항을 겪는 동해시 특수학교 신설과 관련해 애초 계획대로 2019년 개교를 목표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도교육청은 이달 두 차례 측량작업을 시도했으나 주민의 반대로 무산되자 이달 내로 3차 측량을 할 계획으로 있지만 측량을 방해하는 일부 주민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도교육청은 2014년 동해·삼척에 특수학교가 없어 장애학생들이 매일 강릉으로 3시간가량 통학하는 불편을 겪자 동해 특수학교 설립 계획을 수립했으나 부지 선정이 늦어지고, 주민 반대에 부딪혀 개교시기를 2018년에서 2019년으로 1년 연기 한 것인데, 도교육청은 반대 주민만 탓하지 말고 동해시와 협력체계를 하나 둘씩 세워서 일방적 설명회나 법적 타당성만 앵무새처럼 되뇌지 말고 반대 주민들의 의견을 무엇이든 듣고 이에 대한 설득에 최선을 다하여야 한다.
이와 함께 동해시는 동해특수학교 설립에 대해 고무적인 태도를 일관해왔지만 이에 대해 도교육청은 시와 긴밀한 협조와 함께 특수학교설립에 관하여 사전 조율이나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는가?
또 도교육청은 동해시가 학교 용지로 변경해 주느냐 아니냐에 따라 늦어질 수 있고, 순조로울 수도 있다고 하는데 이 또한 동해시와 진지하게 사전 검토와 조율을 해 본적이 있는가?
도교육청은 법적 태도를 일관하지 말고 시와 꼼꼼한 협의체계를 구성하여 함께 반대 주민들을 설득해 나가는 것이 지역 사회의 관계를 잘 풀어 나가는 길인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