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돌봄 서비스, 온라인 ‘복지로’에서 신청하세요

최대 30일 이내 72시간 범위 내 지원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3일부터 긴급돌봄 서비스를 온라인 ‘복지로’로 손쉽게 신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긴급돌봄 지원사업이란 질병 및 부상과 주돌봄자의 사망, 입원 등 갑작스러운 부재로 인한 신속한 지원으로 국민의 돌봄 불안을...

철도역 네일 케어 매장 ‘섬섬옥수’ 원주역점 개소

장애인고용공단, DB생명보험 참여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사장 이종성)은 고용 취약계층인 여성 중증장애인의 일자리를 확대하고자, 지난 3일 철도역 네일케어 매장 ‘섬섬옥수’ 원주역점을 개소했다. 철도역 네일케어 사업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 민간기업이 공동 참여하는 공익사업으로, 전국 주요 철도역에 네일 케어 매장을 설치해...

2025년 노인 단독가구, 소득인정액 월 228만 원 이하면 기초연금 받는다

복지부,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인상 보건복지부는 2025년도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을 단독가구 월 228만 원, 부부가구 월 364만8000원으로 결정한다고 밝혔다. 노인 가구별 월 소득인정액은 노인가구의 근로소득, 연금소득 등 소득과 일반재산, 금융재산, 부채 등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합산한 금액으로 해당...

‘원주지역 내 작은 도서관 만들기 사업’ 추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강원지사(지사장 김상구)는 지난 24일, 배기열융합예술원(원장 배기열)과 북피알미디어(대표 나영광)와 함께 도서기증행사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원주 지역 내 작은 도서관 만들기 사업’의 일환으로 1천200권의 신간 도서를 관내 장애인보호작업장 ‘일과사랑(원장 황용기)’에 기부하는 것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확장될...

강원특별자치도, ‘2025년 CES 강원관’ 개관

강원특별자치도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첫 단독관인 강원관을 개관했다. CES 2025 강원관 개관식은 8일 오전 11시(미 현지시간), 정광열 경제부지사, 원강수 원주시장, 정재연 강원대 총장, 김용승 가톨릭관동대 총장 및 초청 바이어 등 100여 명이 참석한...

예방접종 내역·미납 통행료, 민간 앱에서 조회·납부 가능

◇2024년도 신규 개방하는 공공서비스 38종 그동안 공공 웹사이트나 앱에서만 이용 가능했던 예방접종 내역 조회, 미납 통행료 조회·납부 등 2종의 공공 서비스를 ‘PASS 앱’ 등 평소 자주 사용하는 민간 앱에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중증장애인생산품 의무구매비율 1.1%로 상향…공공기관 1천여개소 대상

시장 규모 최소 7천850억 원 기대 미달성하면 ‘대면교육’ 의무화 ◇ ‘2024 중증장애인생산품 박람회’ 서 신규품목 홍보관을 운영중인 한국장애인개발원 올해부터 중증장애인생산품 법정 의무구매비율이 1.1%로 상향되며, 1천24개소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우선구매가 적용된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2월 개정된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의 시행에 따라...

고성군·속초우체국, ‘복지 등기 우편서비스’ 업무 협약

고독사 예방·복지 사각지대 발굴·지원 위해 ◇ 30일 고성군과 속초우체국이 고독사 예방을 위한 복지 등기 우편서비스’ 업무 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고성군은 고독사 예방을 위해 속초우체국과 공동으로 대응하기 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군과 속초우체국은...

[새얼굴] 윤종진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이사장

윤종진(57)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이사장은 “정부 국정철학과 국정과제에 맞춰 보훈의료복지 서비스 체계를 혁신해 국내 최고 수준의 공공 의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포항 출신으로 포항고, 연세대학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연세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통령실 인사혁신비서관,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강원교육청, 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와 ‘무장애 학습 환경’ 협약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이 30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와 무장애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번 업무협약은 학교 장애인편의시설의 접근성 개선 및 기능 향상, 확충을 통해 장애물 없는 학습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장애 학생들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도교육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