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중앙부처에서 일하는 장애인공무원들은 남성에 편중돼 있고, 고위직 비율은 0%대로 대부분 하위직인 것으로 파악됐다. 장애인공무원들은 낮은 승진 기회, 장애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직무배치 등의 고충을 호소했다.
13일 인사혁신처가 발표한 ‘장애인공무원 인식 및 실태 조사’ 결과를 보면, 50개 중앙부처에 소속된 장애인공무원 가운데 남성은 4천236명(83.1%), 여성은 731명(16.9%)이었다. 직급별로 보면 계약직을 포함한 7급 이하 하위직이 65.9%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2급 이상 고위직은 4천967명 중 9명(0.2%)에 불과했다. 부처 핵심기능을 수행하는 주요 부서에 임용된 장애인공무원도 266명(5.4%)에 그쳤다. 또 최근 3년간 국외훈련 파견인원 900명 중 장애인공무원은 1.3%인 12명뿐이었다.
인사담당자들은 특히 중증장애인을 채용할 때 애로점으로 ‘적합한 직무를 찾기 어려움’(71.4%)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관리자·동료 등이 장애인 채용을 꺼려서’(6.1%), ‘채용 후 인사관리가 어려울 것 같아서’(6.1%) 등의 순이었다.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에 직원 참여도가 낮은 데다, 장애인공무원의 직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별도로 교육하는 기관은 한 곳도 없었다.
설문에 응한 장애인공무원들은 희망보직에 대한 사전조사 및 반영, 근무지 배정 시 장애 배려 등 직무배치에 대한 불만이 컸다.
직무배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7점에 그쳤다. 부서·기관 이동 시 어려움으로 ‘출퇴근 거리 증가 및 주거 이동’(28.7%), ‘장애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부적절한 직무배치’(28.7%) 등을 꼽았다.
특히 중증, 여성, 청각·언어 장애인의 경우 승진심사에서 불이익 경험률이 높았으며, 승진 기회가 적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선호부서 또는 주요보직에서 배제되고, 업무성과에 대한 평가절하, 장애인에 대한 선입관, 승진심사 대상 배제 등을 겪는다고 응답했다. ‘승진심사 시 불이익’ 경험을 5점 만점으로 묻자 여성이 2.7점으로 남성(2.3점)보다 높았고, 중증장애인(2.5점)이 경증장애인(2.2점)보다 높았다.
김판석 인사혁신처장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장애인공무원 인사관리 및 근무여건 실태를 정확하게 진단하고, 장애인공무원에게 차별적인 인사제도나 관행, 조직문화를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인동 기자/newskwj@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