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 이야기] 망종(芒種)

망종(芒種)은 소만과 하지 사이에 위치한 절기로 1년 24절기 중 아홉 번째 절기에 해당합니다. 계절로는 여름에 들어 있는 절기이며 양력 6월 5일이나 6월 6일에 망종일이 들어서게 됩니다. 망종(芒種)은 까끄라기 망(芒)자 씨 종(種)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니까 망(芒)은 보리나 벼처럼 까끄라기가 있는 곡식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고, 종(種)자는 그 씨앗이라 할 수 있습니다.
망종의 시기에 보리는 베어내면서 그 씨앗 또한 수확을 하고, 벼는 새로 심게 된다는 의미에서 이때를 망종으로 삼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망종과 관련하여서는 보리와 관련된 속담들이 많습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은 이 시기를 넘기면 보리가 바람에 쓰러질 수 있고, 이때까지 보리를 모두 베어내야 그곳에 벼를 심을 수 있기 때문에 나온 것입니다.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요.’라면서 보리와 벼가 그 자리를 바꾸게 되는 시기가 망종임을 알려주는 속담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이처럼 우리 농사에서 가장 중요한 두 곡식인 보리를 베고 벼를 심어야 하는 시기인 만큼 망종은 농촌에서는 ‘발등에 오줌 싼다’라는 말이 있을 만큼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이기도 합니다. 화장실에 갈 틈도 없이 일을 해야 하는 시기라는 말이겠지요. 그래서 옛 어른들은 망종 (芒種) 대신 잊을 망(忘)자에 끝날 종(終)자를 써서 망종(忘終)이라고 부르기도 하였습니다. 일이 시작은 되었으되 그 끝이 나는 것을 잊었다고 말할 정도로 일에 치이는 때가 바로 망종임을 이런 식으로 표현한 것이지요.
이러한 망종과 관련하여 지역의 풍습들도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제주도에서는 망종일에 풋보리 이삭을 이용하여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으면 이후 보리밥을 먹어도 배탈이 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보리그스름(보리그을음)’이라고 하여 풋보리를 베어다 그을음을 해서 먹으면 다음 해 보리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하였고요. 또한 망종일에 수확한 보리를 밤이슬에 맞혔다가 다음날 먹는 곳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먹고 나면 그 해에 병치레를 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다고 하였지요. 또한 전남과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치면 불길한 징조로 보았고, 우박이 내리면 오히려 길한 징조로 보았습니다.
그런가하면 6월 6일을 현충일로 제정한 것 또한 망종과 관련이 있습니다. 예로부터 망종에는 제사를 지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1956년에 한국전쟁의 희생자를 기리기 위하여 현충일을 제정할 당시의 망종이 6월 6일이었고, 이 때문에 현충일이 6월 6일이 되었다고도 합니다. 그러니까 만약 그 해의 망종일이 6월 5일이었다면 현충일은 6월 6일이 아니라 6월 5일이 될 수도 있었던 것이지요.

<자료 산수도인>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