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장애인체육센터 150개 건립·생활체육교실 확대

장애인 생활체육 추진전략 발표…참여율 20%→30% 목표

문화체육관광부는 장애인들의 생활체육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3대 추진전략과 8대 핵심과제를 발표했다.
문체부는 14일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2018 평창동계패럴림픽 유산(legacy) 창출을 위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대국민 보고회’를 열고 이와 관련한 내용을 밝혔다.
문체부는 ‘장애인 체육, 모두를 위한 체육의 시작’이라는 비전으로 ▲장애인이 주도하는 체육, ▲장애인이 즐기는 체육, ▲장애인과 함께하는 체육 등 3대 추진전략을 설명했다.
문체부는 먼저 2025년까지 장애인 체육시설인 ‘반다비 체육센터’ 150개를 신규 건립하기로 했다.
시·군·구 단위로 건립되는 ‘반다비 체육센터’는 장애인이 우선하여 사용하되, 비장애인도 함께 이용하는 통합시설로 운영될 계획이다. 체육관형, 수영장형, 종목별 특화형 등으로 세분화해 건립될 ‘반다비 체육센터’는 단순한 체육시설이 아닌 장애인 커뮤니티 센터 및 복합 문화체육시설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비용문제로 체육 활동을 못 하는 장애인이 없도록 현재 저소득층 유·청소년을 대상으로 발급하고 있는 스포츠강좌이용권을 장애인을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문체부는 2019년 연구용역을 시행한 뒤 2020년 이후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장애인 체육 입문자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인 생활 체육교실도 현재 622개에서 2022년까지 1천300개도 대폭 확대하기로 하고 장애유형별로 다양한 교실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기로 했다. 장애인 생활체육 동호회 지원도 늘린다. 동호회가 일부 종목에 편중되지 않도록 종목별 동호회 지원을 다양화하고, 생활체육교실 참여자의 동호회로의 전환을 우선 지원한다.
문체부는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도 대폭 확대한다. 올해 577명인 생활체육지도자는 2019년 800명으로 늘린 뒤 2022년까지 1천2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은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장애인 체육의 발전으로 활용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3월 국무회의에서 장애인체육 활성화를 지시한 이후 문체부를 중심으로 5개 권역별 정책 포럼, 간담회, 워크숍 등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만들었다.
장애인 체육은 지난 1988년 서울 패럴림픽을 기점으로 크게 발전했다. 대한장애인체육회, 종목별 경기단체, 시도 장애인 체육회 등 장애인 체육 단체가 설립되고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 등에 대한 지원이 확대됐다. 그러나 일반 장애인이 실생활에서 체육 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은 여전히 열악하다. 장애인이 마음 편히 이용할 수 있는 체육시설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데다 장애인 전용 체육시설의 운영비 증가 등으로 실제 장애인의 이용률은 낮은 수준이다.
2017년 기준 장애인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20.1%에 불과하다. 문체부는 2022년까지 이를 30%로 올리는 것을 정책 목표로 삼았다.
문체부 도종환 장관은 “전체 장애인 중 90%에 가까운 사람이 교통사고 등 사고로 인한 중도 장애인임을 고려하면, 오늘 발표한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은 장애인만을 위한 정책이 아닌 우리 모두를 위한 정책” 이라며 “장애인 생활체육 활성화가 2018 평창 동계패럴림픽의 핵심 유산으로 자리매김하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최죽희 기자/newskwj@hanmail.net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