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시론] 박혁종 본지 대표

기해년(己亥年) 새해는 ‘왜?’라는 화두(話頭)를


세월을 아쉬워하며 어떻게 한 해를 마무리해야 좋을까 필자를 비롯한 대다수의 사람들은 고민하여 보았을 것이다. 이렇게 저렇게 마무리한 2018년, “흐르는 세월은 붙잡거나 되돌릴 수 없고 생로병사는 자연법칙이다. 지나간 일은 그만이니 내가 다시 어찌할 수가 있겠는가만 앞으로라도 잘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모두가 새해에는 십중팔구 자답하며 포기하지 않겠다고 되뇌었으리라.
2019년, 지난해를 돌아보고 새해 목표를 세우는 때이다. 목표가 너무 높았다면 조금 낮추어도 좋고 실천할 일들을 너무 많이 잡았었다면 조금 줄여도 좋을 것이다. 맡은 분야에서 설정한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나아가 우리 모두가 소기의 성취를 이루는 기해년(己亥年))년이 되기를 기원 하면서 새해 첫 머리에 들어서면서 장유(張維,1587~1638) ‘바보를 팔다(賣癡)’를 소개해 보고자 한다.
“소년들이 길에서 외치고 다니네. “당신께 팔 물건이 있어요.” 무엇을 팔려느냐 물어보니까, 괴롭기 짝이 없는 바보를 팔겠다 하네. 늙은이가 말하네. “내가 사련다. 네게 그 값도 바로 치러주마.” 살면서 지혜롭기 바라지 않네, 지혜란 원래 시름겹게 하는 것, 온갖 걱정 만들어 평정심을 깨뜨리고, 온갖 재주 다 부려 계산하는 데 힘을 쓰지, 예로부터 지혜롭다 소문난 이들, 세상살이 몹시도 궁박했다네. 환하게 빛나는 기름 등불은, 활활 타올라 스스로 꺼지고, 무늬가 아름다운 짐승은, 끝내 덫에 걸리고 말지, 지혜가 있는 것이 없는 것만 못하니, 바보가 된다면야 더더욱 좋고 말고, 너에게서 바보를 사 오면서, 너에게 교활한 꾀를 건네주지, 밝게 보지 못한다 해서 눈머는 것도 아니고, 분명히 듣지 못한다 해서 귀먹는 것도 아니네. 아! 새해 운수가 크게 길하고 이로우리라는 것을, 점쳐볼 것도 없이 바로 알겠네.” 계곡은 바보를 파는 아이에게 선뜻 그 바보를 사겠노라고 답한다. 그것도 공짜로 받는 것도 아니고 값까지 치러 주면서 말이다. 값까지 치러 가면서 바보를 사겠다는 이유는 분명하다.
굳이 재주를 부리지 않고 굳이 지혜를 쓰지 않아도 어지간히 보고 들으며 평범하게 사는 데에는 지장이 없는데, 재주를 부리고 계산을 하다 보면 스스로 화를 불러들이게 된다고 보아서다. 그리고는 새해에는 꾀를 버리고 바보를 샀으니 운수 대통 할 것이라고 자신한다.
지혜로운 사람이 고단한 삶을 살고, 귀한 재주를 지닌 사람이 그로 인해 곤경에 처하는 것을 볼 때, 지혜는 액을 물리치는 것이 아니라 액을 부르는 것이고 어리숙함은 액을 부르는 것이 아니라 액을 피하게 해 주는 것이라는 생각을 했을 것이다. ‘아는 것이 힘’이라고 여겨 무지를 벗어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지만 그 과정에서 고통을 겪으며 ‘아는 게 병, 모르는 게 약’이라는 결론을 내려 버릴 수도 있다.
과연 무엇이 액일까? 모르는 데서 액이 찾아온다. 라고 여겨 남에게 바보를 파는 사람처럼 모르는 것을 액으로 여겨야 할까? 아니면 앎으로 인해 힘들어지니 아는 것을 액으로 여겨야 할까? 새해 첫날 누군가 내게 ‘내 바보 사려’를 외칠 때 나는 기꺼이 지갑을 열어야 할까? 아니면 ‘떼기 이놈!’ 해야 할까?
사계(四季)는 따뜻하고, 덮고, 시원하고, 춥고를 반복하는 자연법칙의 추이이지만, 선한 자나 선하지 못한 자가 되는 것은 사람의 노력에 달려 있지 않을까?
그래서인지 역사상의 수많은 인물이나 나라의 흥망에서 증명되듯 인간은 인식의 지평을 넓히며 깨우쳐가는 노력을 멈추게 되면 그 짧은 생애 동안에도 오히려 퇴보하는 숙명을 짊어진 존재가 될 것이다.
깊은 잠에 든 사람은 깨울 수 있어도 깊게 잠든 척 하는 사람은 깨울 수 없다. 우리는 서로 간에 깊이 잠든 척 하지 말고 살자.
인간의 궁극적인 물음은 바로 ‘인생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라는 물음이다. ‘인간은 왜 태어났고, 무엇을 위해 살고 있으며, 어디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묻고 답해 나가는 것. ‘왜’는 이유나 목적을 묻는 질문이다. 애초에 어떤 이유나 목적이 없다면 ‘왜’라는 질문도 있을 이유가 없다.
왜라는 질문은 왜 할까. 모든 의미가 그 질문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궁극, 근원, 시작, 목표, 방향, 꿈도 그 안에 있다. 왜 사는가, 왜 먹는가, 왜 일하는가, 왜 꿈꾸는가. ‘왜’를 묻는 그 질문에서부터 답은 이미 찾은 셈이다. 질문이 있어야 답도 있다. 올 한해는 왜? 라는 부사(副詞)를 화두(話頭)로 삼고, 신나게 내 바보를 팔아보자.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