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분야 웹사이트, 장애인 등의 정보접근성 ‘저조’

※ 우수(95점 이상) / 양호(85점 이상) / 보통(75점 이상) / 미흡(75점 이하)

민간분야 웹사이트들이 장애인 등을 위한 정보접근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1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도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웹 접근성은 장애인, 노인 등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도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실태조사는 지난해 9월~12월까지 4개월 간 진행됐으며, 이용 빈도가 높은 8개 표준산업 분야의 웹사이트 1,000개를 선정해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국가표준)’ 준수 여부를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에서 평가했다.
조사된 8개 표준산업 분야는 ▲금융·보헙업 ▲숙박·음식점업 ▲부동산업 ▲교육서비스업 ▲도·소매업 ▲정보통신업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이다.
실태조사 결과, 전년 대비 소폭 개선됐으나 전반적으로 웹 접근성 수준이 낮아 장애인, 고령자 등을 배려한 개선 노력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0개 웹사이트의 평균 점수는 53.7점, 75점 이하의 미흡한 수준에 해당하는 웹사이트 비율은 66.6%로 나타나 상당수의 웹사이트가 정보접근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산업분야별로 살펴보면, ‘금융·보험업’ 분야의 웹 접근성 수준이 평균 60.7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분야가 35.6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항목별로는 배너(banner) 등과 같이 빠르게 변경되는 콘텐츠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원할 때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정지 기능 제공’ 항목의 준수율이 33.6%로 가장 저조했다. 또한 메뉴 등과 같은 웹페이지의 반복적인 영역을 건너뛸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제공, 이미지(image) 등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대체 글(text) 제공 등 항목의 준수율도 50% 미만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정보통신정책관은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정보 취약계층이 배제되거나 소외되지 않도록 사회적 관심과 노력이 절실하다” 며 “정보통신 기기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 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웹 접근성이 미흡한 기관을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와 개선사항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하고, 웹 개발자에 대한 기술교육과 세미나, 교육콘텐츠 제작·배포 등을 추진해 민간의 인식 제고와 접근성 개선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복지관 등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의 웹사이트에 대해서는 접근성 개선을 직접 지원(매년 30개)할 예정이다.

최죽희 기자/newskwj@hanmail.net

< 저작권자 © 강원장애인복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공유